[기후위기시대] 112. 즉석밥 용기 재활용 현황

지난달 17일 충북 제천시 신월동 세명대 후문 부근의 한 원룸 건물 앞 쓰레기 분리배출함. 파란색 대형 플라스틱 수거통에 빈 음료병 등과 함께 하얀색 즉석밥 용기가 여러 개 버려져 있었다. 대부분 깨끗하게 처리된 그릇이었지만, 붉은색 반찬 찌꺼기가 남은 것도 있었다. 지나가던 세명대생 정모(21) 씨는 “즉석밥 용기를 씻어서 플라스틱으로 버리고 있는데, 재활용이 되고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인근 큰길가에 놓인 50리터(L) 종량제봉투 안에도 즉석밥 용기 여러 개가 일반쓰레기와 함께 담겨 있는 것이 보였다. 전자레인지 등에 바로 데워 먹을 수 있는 즉석밥은 1인 가구 시대의 필수 식량으로 꼽히지만, 연간 수억 개나 팔리는 제품의 빈 용기 재활용이 제대로 되지 않아 탄소배출 감축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충북 제천시 신월동의 한 원룸 건물 플라스틱 수거함에 제대로 세척되지 않은 즉석밥 용기가 버려져 있다. 인근 일반쓰레기 수거 지점에 놓인 종량제봉투에도 즉석밥 용기가 들어있다. 하미래 기자
충북 제천시 신월동의 한 원룸 건물 플라스틱 수거함에 제대로 세척되지 않은 즉석밥 용기가 버려져 있다. 인근 일반쓰레기 수거 지점에 놓인 종량제봉투에도 즉석밥 용기가 들어있다. 하미래 기자

복합재질인 즉석밥 용기, 플라스틱 재생원료 순도 낮춰

27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씨제이(CJ)제일제당의 ‘햇반’과 ㈜오뚜기의 ‘오뚜기밥’ 등 즉석밥은 회사당 연간 2억~6억 개가량이 판매되고 있다. 폴리프로필렌(PP) 95%, 에틸렌비닐알코올(EVOH) 5%로 구성된 즉석밥 용기는 국내에서 배출되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상당량을 차지한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가 지난 1월 발표한 ‘2023 플라스틱 배출 기업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일주일 동안 2084명이 사용한 일회용 플라스틱 중 생수 등 음료 포장재가 37.6%, 간식류 포장재가 15.3%, 즉석밥과 밀키트 등 가정간편식류 포장재가 14.3% 등이었다.

즉석밥 용기는 원래 5%의 EVOH 성분 때문에 ‘플라스틱 아더(OTHER)’로 분리해서 배출해야 한다. 일반 플라스틱과 섞이면 재생 과정에서 전체 플라스틱 원료의 순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철저한 분리가 어려워 다른 플라스틱과 섞어 배출하는 것을 용인하고 있다. 환경부 자원재활용과 강가형 주무관은 <단비뉴스> 전화 인터뷰에서 원칙적으로 ‘플라스틱 아더’끼리 분리 배출해야 하지만, 다른 플라스틱과 섞어 배출해도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취지로 설명했다.

즉석밥 제조업체 중 빈 용기를 업사이클링(새활용) 하기 위해 직접 나선 곳도 있다. CJ제일제당은 2022년부터 즉석밥 용기를 별도로 수거·재활용하는 온·오프라인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전국의 아파트 등 공동주택과 각급학교, 주민센터, 편의점 등 1300여 곳에 즉석밥 용기 수거함을 설치했고, 인터넷 CJ몰에서 햇반을 구매한 고객을 대상으로 빈 용기 무료 수거 서비스도 시작했다. 이 회사는 2022년 한 해 동안 약 30만 개의 빈 그릇을 수거해 지역자활센터 등에서 세척한 뒤 두부 운반용 트레이, 음악 공연 응원봉, 가습기 제작 키트 등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CJ제일제당 이상준 대리는 직접 수거를 시작한 것과 관련해 “순도 높은 단일 물질로 제조한 플라스틱을 모아야 단가가 높아진다는 이유로 재활용 업체들이 선별장에서 즉석밥 용기를 (일반)쓰레기로 버리거나 소각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연간 즉석밥 생산 규모와 비교할 때, 업체가 수거하는 빈 그릇은 극히 일부에 그친다.

CJ제일제당은 즉석밥 햇반의 빈 용기를 수거해 응원봉, 천연 가습기 키트 등으로 새롭게 활용하는 사업을 펼치고 있다. CJ제일제당 누리집 갈무리
CJ제일제당은 즉석밥 햇반의 빈 용기를 수거해 응원봉, 천연 가습기 키트 등으로 새롭게 활용하는 사업을 펼치고 있다. CJ제일제당 누리집 갈무리

빈 용기 새활용 과정에서 일자리 창출 효과도

경남 창원시에 있는 사회적협동조합 마산희망지역자활센터는 CJ와 계약을 맺고 즉석밥 용기 수거 서비스를 하는 곳이다. 이 센터는 창원시 11곳과 부산시 1곳에 즉석밥 용기 수거함을 설치하고, 자활사업장인 ‘행복한 가게’에서 수거와 세척, 분쇄 작업을 하고 있다. 지난 5월 2일 창원시 마산합포구 남성동의 행복한 가게에는 즉석밥 용기를 분쇄한 가루가 담긴 10킬로그램(kg)짜리 포대 20여 개가 쌓여 있었다. 마산희망지역자활센터의 사회복지사 김갑숙 팀장은 “이 가루로 화분을 만드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김 팀장은 사업장에 와 있는 택배 상자 2개를 가리키며 “(즉석밥 용기가 담긴 택배가) 부산에서도 오고 충청북도 진천에서도 온다”고 설명했다. 행복한 가게에는 즉석밥 용기 파쇄기가 설치돼 있다. 여기서 용기 수거 담당 1명, 세척 담당 2명, 파쇄 및 포장 담당 1명이 함께 일하고 있다. 이들은 파쇄한 조각을 관련 업체에 판매해 수익을 낸다고 김 팀장은 덧붙였다. 아직은 미미하지만, 빈 용기 새활용 과정에서 일자리가 생길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창원시 가포 엘에이치(LH) 아파트 단지와 창원 ‘위카페 다온’ 등에 설치된 즉석밥 용기 수거함. 하미래 기자
창원시 가포 엘에이치(LH) 아파트 단지와 창원 ‘위카페 다온’ 등에 설치된 즉석밥 용기 수거함. 하미래 기자

반면 오뚜기는 즉석밥 용기를 별도로 수거하고 있지 않다. 오뚜기 홍보팀 류채희 대리는 “현재 국내에서는 단일 및 다층플라스틱이 재활용 공정을 통해 이미 재사용이 되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용기 수거 서비스나 수거함 제도를 운영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소비자의 선호 방법 및 편의성을 고려해 추후 (다른 방안을) 검토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환경단체는 ‘대체 재질 개발’ ‘탈플라스틱’ 요구

환경단체들은 즉석밥 용기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단일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만들 것과 생분해성이 높은 대체 재질을 개발할 것 등을 업계에 요구하고 있다. 녹색연합 허승은 녹색산업팀장은 단비뉴스 전화 인터뷰에서 “즉석밥 용기의 재활용률을 높이고 고급 재활용을 하려면 단일 재질이어야 한다”며 식품업체들이 대안을 찾을 것을 촉구했다. 허 팀장은 또 “궁극적으로는 환경에 해가 적은 대체 재질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탈(脫)플라스틱, 레스(less)플라스틱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가 탈플라스틱으로 전환하는 산업을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일본에서는 버려진 쌀로 생분해성이 높은 플라스틱인 ‘라이스 레진’을 만들어 즉석밥 용기에 활용하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2022년 발간한 ‘일본 식품 패키지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일본 즉석밥 제조업체인 테이블마크는 정미 과정에서 부서져 버려지는 쌀을 배합한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을 즉석밥 포장에 적용해 2022년 봄 출시했다.

일본 식품회사 테이블마크가 쌀가루를 넣어 포장재를 만든 즉석밥 제품. ‘이 상품의 외장 필름은 라이스레진을 사용하고 있다’고 적혀있다. 테이블마크 누리집 갈무리
일본 식품회사 테이블마크가 쌀가루를 넣어 포장재를 만든 즉석밥 제품. ‘이 상품의 외장 필름은 라이스레진을 사용하고 있다’고 적혀있다. 테이블마크 누리집 갈무리

그러나 오뚜기 홍보팀 박민수 직원은 “우리나라에서는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을 기존 플라스틱 포장재에 혼합하는 경우 오히려 재활용성이 저하돼 일반쓰레기로 배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같은 팀 류채희 대리는 “플라스틱 재활용과 관련해 용기 성형 중에 발생하는 자투리 플라스틱을 재사용하거나, 용기 두께를 감량해 플라스틱 사용 자체를 줄이는 방법 등을 모색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CJ제일제당도 2020년 햇반 용기와 뚜껑의 두께를 기존 제품보다 절반가량 줄인 데 이어, 2021년에는 햇반 용기 제조 과정에서 남은 플라스틱을 재사용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후위기시대] 기사 더보기

① 온실가스 주범 석탄발전소 ‘더 짓는 중’

② '기후우울' 떨치고 '어벤져스'로 나서다

③ 탄소세 부과로 ‘신호’ 줘야 기업 바뀐다

④ 노동·지역경제 배려 ‘정의로운 전환’을

⑤ "석탄발전소 짓는 한국, 리더 아닌 꼰대"

⑥ ‘그린워싱 대신 행동을’ 거센 녹색 함성

⑦ "SMR 등 원전은 기후위기 대안 못 돼"

⑧ “상용화 먼 핵융합, 탄소중립 도움 안 돼”

⑨ “기후위기 극복 의무를 헌법에 넣자”

⑩ 소형모듈원전(SMR) 상용화 가망 없다

⑪ “파이로프로세싱은 과학 아닌 소설”

⑫ 기후재난으로 원전 위험성 더 커진다

⑬ ‘기후 일자리’ ‘탄소국민배당’ 추진을

⑭ 고기 즐기는 너, 기후변화 공범 아니니

⑮ 청소년은 ‘미래’ 아닌 기후재난 ‘당사자’

⑯ 기후 미술관, ‘제로 웨이스트’로 가다

⑰ 쓰레기 줍다 보니 삶이 바뀌더라

⑱ “한국 공적금융이 에너지 전환 걸림돌”

⑲ ‘ESG 경영’ 뒤로 ‘기후행동 봉쇄 소송’

⑳ ‘국민이 처한 위험’ 알리려 당근 쏟았다

㉑ 나는 오늘 옷을 샀다, 기후위기를 샀다

㉒ 시민이 일어나 정부·기업을 움직이자

㉓ 탄소 줄이는 갯벌 메워 공항을 짓다니

㉔ 공장식 축산 줄이고 채식 늘려야 생존

㉕ 경작과 에너지 생산을 ‘하이브리드’로

㉖ 이재명 ‘재생에너지’, 윤석열 ‘원전’ 강조

㉗ 이재명·윤석열도 ‘기후대선’ 동참해야

㉘ ‘할머니가 지킬게, 초록지구’ 119 출동

㉙ 기후변화만큼 핵발전도 위험하다

㉚ ‘주차장 태양광’ 시급한데 조례로 막아

㉛ 채식 급식 확대, 환경교육과 병행 필요

㉜ 지구는 우리가 지킨다, 연구의 힘으로

㉝ 낡은 단독주택이 제로에너지 건물로 깜짝 변신

㉞ 개발에 밀린 무허가 정착민의 ‘생존 연료’

㉟ 난청·진폐 앓아도 떠날 곳 없는 노동자들

㊱ 실종된 ‘기후정치’를 찾습니다

㊲ ‘막장’에서 땀 흘린 이들의 희망은 어디에

㊳ 물 부족은 아프리카에서 끝나지 않는다

㊴ 돌고 돌아 사람 몸속에 쌓이는 플라스틱

㊵ 바이오연료, 전기차로 가는 징검다리 될까

㊶ 왕우렁이가 돕는 쌀농사, 도시농부도 보람

㊷ 취약층 ‘쪄 죽는 사회’ 막으려면

㊸ 속 썩은 배추에 농부 마음도 썩어들어가고

㊹ 탄소흡수 ‘바다숲’ 228곳 조성 후 관리 미흡

㊺ 중·고교 5600여 곳에 환경담당 교사는 41명

㊻ ‘탈석탄법’으로 신규발전소 건설 중단 길 터야

㊼ 강력한 탈탄소 정책과 기후정의 함께 가야

㊽ ‘기후재난, 이대로 살 수 없다’ 역대 최대 인파

㊾ BTS RM의 그 가방, 폐시트와 빗물로 제작

㊿ 채취량 반으로 줄고 낙석에 생명의 위협도

51. ‘그린워싱’ 고발하다 법정에 선 활동가들

52. 보틀클럽과 리필스테이션이 있는 마을 실험실

53. ‘블루카본’ 갯벌을 신공항으로 덮으려는 정치

54. 애타는 기후 시민, 정부를 법정에 세웠다

55. 기후행동 ‘목적의 정당성’ 인정한 판결에 환호

56. ‘단 한 명이라도…’ 매주 간절하게 올리는 기도

57. 과학자들, '엉터리 근거로 오염수 투기 강행' 비판

58. 농지에서는 농사를, 유휴부지에는 태양광을

59. 호수 위에 뜬 그 꽃잎이 태양광발전소라니

60. 우리 땅 농산물과 천연재료를 고집하는 가게

61. 과학을 부인한 그들, 세계를 위험에 빠트리다

62. 아이들이 안전하게 살아갈 ‘봄’을 만드는 마음

63. 환경을 살리는 선택이 일자리도 만드는 시대

64. 소비 중독 벗고 ‘순환 경제’로 가야 살아남는다

65. 기업 ‘친환경 경영’ 속도 높일 단일법 추진

66. 오염수 방류 임박, 후쿠시마 참사는 ‘진행 중’

67. 쓰레기 안 만드는 생산·유통·소비에 도전하다

68. ‘소·돼지·닭의 복지’도 인간에게 중요하다

69. 늘어나는 대형 산불 '불막이 숲' 등 대책 시급

70. "온실가스 감축 부담을 미래세대에 전가 말라"

71. 한국 온난화 속도는 지구 평균의 2~3배

72. ‘자본 아닌 인간 편에서 탄소중립을’ 거센 함성

73. 커피 찌꺼기도 ‘기후테크’로 저탄소 자원 변신

74. "원전 진흥 기구 IAEA, 결론 정해놓고 조사"

75. 소비자는 ‘불편’ 점주는 ‘고객 이탈’ 불만

76. 공장식 축산 줄이고 동물권도 지키는 대안 

77. '생키호테'와 '계르반테스'는 무엇을 보았나

78. 폐스티로폼으로 지구의 위기를 말하다

79. '녹아내리는 빙하' 춤으로 알리는 사람들

80. ‘그린수소’ ‘멀티콥터 드론’ 아직은 기술개발 중

81. 수산물 타격에 주민 떠나 ‘유령마을’ 될까 걱정

82. 세계녹색당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반대’ 결의

83. 지구 지키는 농사꾼, 친환경 소비자를 만나다

84. “핵 오염수 해양 투기 말고 육상 저장” 한목소리

85. '입을 옷이 없다'는 그대여

86. ‘보기도 좋은 태양광 건물’ 한국은 아직 걸음마

87. ‘탄소중립’ 질문하는 소비자, 도전하는 농업

88. ‘‘이런 대안 있어요’ 알리려 백 통 넘는 편지를 쓰다

89. 재생에너지 시대 열어가는 기후금융

90. 위성데이터와 인공지능으로 기후재난 대응 

91. 음반 쓰레기 줄이고 그린워싱 잡는 '덕질'

92. 생분해·재생 플라스틱으로 순환경제 열어요

93. 재난 불러온 강자가 약자의 고통 책임져야

94. "알프스 처리 안 한 방사능 오염수가 새고 있다"

95. "지방소멸 대응 정책이 거의 지구소멸 담론"

96. 대규모 난민 몰려들 한반도, 감당할 수 있을까

97. 나의 한걸음이 커다란 물결을 만들까지

98. 지구 뜨거워져도 경기장엔 여전히 '쓰레기 산'

99. '사람과 바다, 기후를 지키는 먹거리' 속속 등장

100. 암스테르담 32%, 코펜하겐 30%, 서울은 2%

101. '‘파국 막을 정치인 뽑자’ 총선 유권자 각성 촉구

102. ‘햇빛연금’으로 가는 길, 오락가락 정책에 차질

103. 유기농 재배 공들였는데 ‘농약 검출’ 청천벽력

104. 치킨집·분식집, 그 많은 튀김 기름은 어디로 갈까

105. 짭짤한 수익 얻으며 지속 가능한 지구 만들기

106. ‘재생에너지 확충‘ 대 ‘원전 중시‘ 다시 형성된 전선

107. 친환경으로 가는 전기차, 타이어가 발목 잡네

108. 앞치마·가방·멍석으로 다시 태어나는 현수막

109. 문상객에게 '일회용품 안 쓸 자유'를 허하라

110. '팩사냥꾼'과 '조아빠'가 줍고, 씻고, 말리는 이유

111. 환경교육사 2580명 일자리 연결 등 관리 부재

관련기사
저작권자 © 단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