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비발언대] 황종원 기자

 
▲ 황종원 기자

올 들어 나를 가장 화나게 한 말은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의 발언이다. 그는 지난 5일 “복지과잉으로 가면 국민이 나태해진다”고 했다. ‘복지를 위해 증세해야 한다’던 말의 진의를 의심케 하는 발언이었다. 우리나라가 도대체 복지과잉을 말할 자격이 있는 나라인가? 보수정당에게 ‘복지’는 궁지에 몰렸을 때만 반짝 등장하는 구호인가?

지난 대선 때도 수많은 구호들이 난무했다. 그 중에서도 내 마음을 사로잡은 것은 대선 후보에도 오르지 못한 손학규씨 구호, ‘저녁이 있는 삶’이었다. ‘준비된 여성대통령’이란 구호보다 정책적으로 다가왔고 ‘사람이 먼저다’란 구호보다 구체성이 엿보였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사람 대다수는 ‘저녁이 있는 삶’을 누리지 못한다. 2013년 기준으로 한국 노동자의 평균 노동시간은 2163시간으로 OECD 국가 중 2위다. OECD평균보다 400시간가량 길다. 야간근무 없이는 이만한 노동시간을 채울 수 없다. OECD 평균 노동시간은 2012년에 견주어 3시간이 줄어 1770시간을 기록했는데 우리는 2년째 변하지 않고 있다. 1980년부터 2007년까지는 노동시간에서 부동의 1위를 차지하다가 2008년부터 1위 자리를 멕시코에 내준 게 위안이라면 위안이다.

그 결과 우리 국민의 하루 평균 수면시간도 OECD 회원국 중 최하위다. 우리의 수면시간은 7시간 49분으로 조사대상국 평균인 8시간 22분보다 33분 짧다. 가장 오래 잔다는 프랑스의 수면시간 8시간 50분보다는 1시간이 부족하다. 이를 증명하듯 밤에 우주에서 위성사진을 찍으면 우리나라는 항상 환한 불빛으로 자기 위치를 부각시킨다. 그 어떤 에너지 자원도 제대로 갖지 못한 나라의 밝기라 하기에는 눈이 부실 지경이다. 우리나라를 잠시 방문하는 관광객들은 ‘야경이 아름다운 나라’라고 칭찬할지도 모르지만 상주하는 사람들에게는 ‘빛공해’ 수준이다.

▲ 나사가 공개한 한반도 야간 위성사진. 우리나라 전역이 눈부시게 빛나고 있다. ⓒ유튜브 영상 NASA Earth at Night 캡쳐

과다한 노동시간과 수면부족은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국제암연구소는 야근을 ‘2급 발암물질’로 분류했고, 야근을 하면 고혈압, 당뇨, 비만, 고지혈증 따위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과도한 업무는 업무효율도 떨어뜨려 우리나라 시간당 노동생산성은 OECD 평균의 66%밖에 안 된다. 충분한 휴식이 있어야 건강이 나빠지지 않고 능률이 올라간다는 것은 상식이다.

이런 상황인데도 새누리당 권성동 의원은 ‘노동시간은 더 길게, 야근수당은 더 적게’에 초점을 맞춰 근로기준법 개정을 추진했다. 개정안대로라면 근로시간이 현행 주 52시간에서 주 60시간으로 늘어난다. 연장근무 한도가 8시간 늘어나는 셈이다. 연장근무 수당도 50%포인트 줄어든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 야경은 더욱 긴 시간 아름다움을 유지하겠지만 ‘저녁이 있는 삶’은 더 멀어지게 된다.

초등학생 시절, 내 귀가 시간은 항상 6시였다. 밖에 나갈 때마다 어머니는 어두워지기 전에 집에 들어와야 한다고 당부했다. ‘친구들은 7시, 8시까지 밖에서 논다’고 떼를 써봤지만 어머니는 꿈쩍도 안 했다. 그때는 밖에서 놀고 있는 친구를 두고 집으로 돌아가야 하는 내가 처량하다고 생각했다. 이제와 생각해보면 어머니의 조기 귀가 당부에는 대개 일찍 귀가하는 공무원이던 아버지와 저녁을 함께하려는 뜻이 담겨 있었다.

어쩌면 다른 친구들은 밖에서 계속 놀고 싶어서 논다기보다는 부모들이 늦게 귀가해서 밖에서 놀 수밖에 없는 환경이었을지도 모른다. 그에 견주면 가족과 ‘저녁이 있는 삶’을 즐길 수 있었던 내 어린 시절은 처량하기보다 행복했다고 할 수 있다. 요즘 아이들은 부모와 함께 저녁을 보내는 시간을 상상이나 할 수 있을까? 야경이 아름다운 나라보다 온 가족이 저녁시간에 밥상머리에 앉아 함께 식사를 할 수 있는 나라가 더 아름다운 나라이다.


 

저작권자 © 단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