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농업이슈] 원주지역 청년 농부들의 솔직한 담화

“한 번 생각해보세요. 400평 땅 한 해 일궈 200만원 나온 거예요. 다른 농사도 있긴 하지만 옥수수밭에서 나온 건 웬만한 월급쟁이 한 달 봉급도 안 되죠. 여기서 경비를 빼고 나면……”

강원도 원주시 매지리에서 농사를 짓는 청년 임승규(31)씨가 11일 기자와 통화하면서 말끝을 흐렸다. 직업군인이었던 그는 군에 있을 때부터 낙향을 고민하다가 3년전 귀농했다. 농사꾼 아버지가 농산물을 도매업자에게 헐값에 넘겼다는 소식을 듣고 더 참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세상 물정에 어둡거나 농사일에 힘이 부친 부모님을 위해 임승규씨처럼 귀농한 젊은 농사꾼 여남은 명이 지난 4월 임씨 밭에 모여 청년 농부들의 애환을 주고받았다. 원주지역 젊은 농업인 모임에서 회장을 맡고 있는 임씨가 서로 안부를 묻기 위해 삼겹살 파티를 마련한 덕분이었다. 

▲ 원주지역 청년 농사꾼 모임은 정기적으로 모여 농사를 돕고, 농사 짓는 방법을 공유한다. ⓒ 박동국

‘밭떼기 후려치기’ 청년 농사꾼에겐 안 통해

임씨의 아버지가 당한 농산물 가격 후려치기는 농업인 사이에선 ‘밭떼기’로 불린다. ‘포전(圃田)거래’라고도 하는데, 밭째로 농산물을 선매해 중간이득을 챙기는 도매상인들이 쓰는 거래 수법이다. 젊은 농업인들은 이런 매매 관행에서 벗어나 블로그 등으로 판로를 개척하고 있다.

“대부분 어르신들은 곡식을 제값 안 쳐주는 업자에게 넘겨버려요. 손해를 볼 수밖에 없죠. 하지만 우리 젊은이들은 손수 지은 농작물을 인터넷으로 판매하니까 손해는커녕 수입이 배로 늘었죠. 옥수수 하나를 업자에게 팔면 3백원인데 인터넷으로 팔면 2배 이익이에요. 소비자는 대형마트에서 천 원에 살 거 6백 원에 사니 서로 좋은 거죠.”

귀농해도 ‘투잡’하는 현실, 도시생활 그립기도

“시골에는 ‘빚 안 지면 부자’라는 말이 있어요. 전업농을 하기엔 불안하니까 어쩔 수 없이 ‘투잡’을 하죠.”

서울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귀농한 김건호(28)씨는 주말 농사꾼이다. 원주시 호저면 무장리에서 소를 키우는 그는 평일에는 제약회사에서 영업사원으로 일한다. 소 농가 운영만으로는 빠듯한 생활을 벗어날 수 없어 ‘귀농-투잡족’이 됐다.

김씨는 축산을 본업으로 삼기가 쉽지 않다고 했다. 소를 키워 얻는 수익이 변변치 않기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평균 농업총수입은 2,757만원이다. 농자재 구매 등에 들어가는 농업경영비(1,846만원)을 빼면 순소득은 912만원에 불과하다. 김씨가 ‘투잡’을 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임승규씨는 잘 풀린 ‘귀농 사례’에 속한다. 첫 해 농사 수입이 5백만원에 불과했지만 꾸준히 블로그에 써오던 ‘농촌생활기록’이 인터넷에서 인기를 얻으면서 입소문을 탔고, 누리꾼들이 구매 의사를 밝혀오는 등 온라인 판매 길목을 트면서 이후 연 매출이 5배로 급등했기 때문이다. 그래도 불안정한 수입만 생각하면 이따금 도시가 그립다고 했다.

▲ 임승규씨는 귀농 3년차 농부다. 농사꾼 아버지가 업자에게 헐값에 넘기는'농산물 후려치기'를 당한 것을 보고 귀농을 결심했다. ⓒ 박동국

농촌은 청년을 필요로 하는데 젊은 귀농인 드물어

삼겹살 파티에서 막걸리 두어 사발을 마신 젊은 농사꾼들은 술자리 분위기가 무르익자 농촌 생활에서 겪는 애환들을 솔직하게 털어놨다. 부모님을 도와 버섯 농사를 짓고 있는 모임의 막내 곽상규(25)씨는 또래 동료가 없어서 농사 일이 적적하다고 말했다.

“여긴 주변에 다 할아버지, 아저씨들이잖아요. 같이 일하면서 대화할 친구 하나 있으면 좋을 텐데, 그게 아쉽죠.”

곽 씨의 희망은 청년 귀농 희망자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실현되기 쉽지 않아 보인다. 통계청에 따르면 전체 청춘 세대(20~39세) 중 약 3%만이 농업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30대 이하 젊은 귀농인은 1,253명에 불과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였다.

▲ 원주지역 젊은 농업인 모임 회장 임승규씨가 마련한 삼겹살 파티에 회원들이 손수 기른 상추와 고추 등을 가져와 시식하며 얘기를 나눴다. ⓒ 박동국

청년들이 시골 생활을 기피하는 주된 이유는 적은 수익과 불편한 환경 때문이다. 시도 때도 없이 날아드는 벌레는 특히 여자들이 질색하는 불편사항들이다. 자녀 학업 문제와 병원과 가게 등 편의시설이 부족한 것도 농촌생활을 망설이게 하는 요인들이다.

“‘거기 전기는 들어와?’ 귀농하자고 하니까 아내가 한 말이에요. 농사짓는다고 하면 두메산골에서 살 거라고 상상해요. 이런 오해로 여자들이 농촌을 꺼리는 거예요.”

김유섭(36)씨는 ‘촌구석’이라는 이미지만 떠올리는 젊은 여성들의 농촌 기피 현상을 꼬집었다. 김씨는 도시에서 만난 부인과 결혼한 뒤 귀농해 같이 매지리에서 감자 농사를 짓는다. 그가 아내에게 시골로 내려가자고 제의했을 때 부부싸움이 벌어졌다고 한다. 수입이 불안정한 시골생활을 아내가 반대했기 때문이다.

“농사라는 게 수익이 매년 차이가 나고, 연봉이 정해진 것도 아니니 계획적인 지출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여자들이 불안해해요. 그러니까 여자들이 농촌으로 시집오는 걸 꺼리는 거죠.”

돈 생각하고 오는 무작정 귀농은 실패 확률 높다

임승규씨에게 귀농을 하려는 청년들에게 하고 싶은 말을 부탁하자 “솔직하게 말해도 될까요”라고 되물었다.

“무작정 귀농 하진 마세요. 농촌에 돈 생각하고 오면 안 되죠. 다짜고짜 귀농하면 빚밖에 안 남아요. 농사에 실패하고 도시로 되돌아간 경우를 많이 봤어요.”

농협경제연구소에 따르면, 귀농‧귀촌을 시도했다가 도시로 돌아간 재이주자들은 주된 이유로 ‘일자리 부족’(34.6%)과 ‘부족한 소득’(26.9%) 등 안정적 소득원 마련의 문제를 꼽았다.

자본금 없이 귀농한 젊은이들은 영농비 부족을 호소하고 변변치 못한 소득으로 경제적 자립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한다. 문화시설이 부족한 농촌에 적응하지 못한 젊은이들은 도시를 그리워하는 ‘역향수병’에 걸리기도 한다. 시골이 주는 자유와 나무와 산으로 둘러싸인 전원생활을 꿈꾸며 귀농한 농사꾼들의 삶은 평탄치만은 않아 보인다.

청년들이 시골로 내려오고 있다. 도시를 떠나 시골을 찾는 건 인간 본능일지 모른다. 곡식을 품은 생명의 땅이 농촌에 있기 때문이다. 청년들의 유입으로 귀농‧귀촌 현상이 모처럼 활기를 띠면서 생명산업인 농업과 나라의 근간인 농촌이 생기를 띠고 있다. 그러나 젊은 농업인이 털어 놓은 애환 속에서 오로지 장밋빛 이야기만 찾아 볼 수는 없었다. 귀농의 이상과 농촌의 현실 사이에는 격차가 컸다.


* [지역∙농업이슈]는 세명대 저널리즘스쿨이 기자·PD 지망생들에게 지역∙농업문제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심어주기 위해 개설한 [농업농촌문제세미나]와 [지역농업이슈보도실습] 강좌의 산물입니다. 대산농촌문화재단과 연계된 이 강좌는 농업경제학·농촌사회학 분야 학자, 농사꾼, 지역사회활동가, 농업·농촌전문기자, 데스크 교수 등이 참여해서 이론과 농촌현장실습, 지역취재보도를 하나로 결합하는 신개념의 저널리즘스쿨 강좌입니다. <단비뉴스>는 이 강좌의 과제 중 일부를 중계해 지역∙농업문제에 대한 인식을 독자들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편집자)  

저작권자 © 단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