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비 소리뉴스] 마지막 비상구 ⑤ 스웨덴의 경험(상)

유럽연합(EU)집행위원회는 2017년 6월 2일 독일 에센에서 열린 녹색도시 시상식에서 스웨덴 벡셰를 벨기에 루벤과 함께 ‘2018 유럽 그린리프(Green Leaf)’로 선정했습니다. EU집행위원회는 매년 자연보호와 녹색성장을 선도해 온 도시를 뽑는데, 인구 10만 이상 도시에는 ‘유럽 그린캐피탈’, 인구 2만~10만 사이 소도시에는 유럽 그린리프상을 줍니다.

위원회는 "벡셰의 꾸준한 화석연료 퇴출 정책과 바이오매스 활용 등을 높이 평가한다“고 밝혔습니다. 벡셰는 2007년 EU집행위원회가 주최한 ‘지속가능에너지 유럽’의 커뮤니티 부문에서도 상을 받았고, 발트도시연합이 주최한 ‘발틱시티어워드’에서는 환경 모범사례로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호수 정화 작업으로 시작된 녹색도시 벡셰

벡셰는 스웨덴 수도 스톡홀름에서 남서쪽으로 약 450킬로미터(km) 떨어진 인구 9만의 작은 도시로, 울창한 숲에 둘러싸여 있습니다. 벡셰시 홈페이지 자료에 따르면 2015년 기준 벡셰 전체 에너지 공급원 중 64.4%가 목재와 바이오연료 등 재생에너지입니다.

시내 한가운데에는 시 전역에 열과 전기를 공급하는 샌드빅열병합발전소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1887년 세워진 이 발전소는 1970년대 말까지 석유를 연료로 전기를 생산했지만, 지금은 바이오매스가 주 연료입니다. 발전소를 운영하는 시영 에너지회사 백셰에너지는 목재 부산물로 만든 연료인 우드칩과 벌목과정에서 나온 나무껍질, 톱밥 등을 많이 쓴다고 홈페이지에서 설명했습니다.

“도시는 숲으로 둘러싸여 있고, 숲에서 샌드빅발전소까지의 거리는 100km 미만입니다. 또 스웨덴에는 나무를 자르면 그만큼 새 나무를 심어야한다는 법이 있습니다. 이런 지리적, 법적 여건이 우리에게 재생가능 에너지원이 영원히 지속가능한 상황을 제공합니다.”

벡셰시의 환경정책을 총괄하는 지속가능발전부 에너지담당관 얀 요한손 씨는 2018년 7월 5일 <단비뉴스> 이메일 인터뷰에서 바이오매스를 가장 많이 활용하게 된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요한손 담당관에 따르면 벡셰 시민들이 지금과 같은 에너지 전환을 생각하게 된 계기는 수십 년 전의 ‘호수정화’와 ‘석유파동’이었습니다.

샌드빅 발전소 옆에 자리 잡은 75헥타르(ha), 축구장 약 102개 크기의 트루멘호수는 오랫동안 공업폐수와 생활하수가 쌓이면서 심각하게 오염됐습니다. 벡셰시는 1970년대 초 호수 퇴적물을 제거하는 등의 복원작업을 대대적으로 추진했습니다. 악취와 쓰레기로 가득했던 호수가 사람이 수영을 할 수 있을 만큼 맑아지는 과정을 지켜본 시민들이 환경 보호의 가치를 절감하게 된 겁니다.

에너지 전환의 방아쇠를 당긴 석유파동 

트루멘호수가 복원된 것과 비슷한 시기에 제4차 중동전쟁(1973~74년)과 이란혁명(1978~80년)이 두 차례의 충격적인 석유파동을 일으켰습니다. 중동 산유국들이 석유 수출을 줄이고 가격을 올리자 스웨덴을 포함한 석유수입국들은 물가급등을 포함한 홍역을 호되게 치렀습니다. 벡셰시도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요한손 담당관은 석유파동이 백셰가 에너지전환을 이룬 방아쇠가 됐다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1970년대 두 차례 석유파동을 겪으면서 벡셰 시민들은 주변 세계에 의존하고 있는 구조가 에너지 비용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분명히 이해했습니다.” 

백셰에너지는 석유파동 직후인 1980년부터 샌드빅발전소 연료를 석유에서 바이오매스로 대체하기 시작했습니다.

“1990년대 초, 우리는 환경문제에서 미래를 위한 현명한 조치가 무엇인지 알고자 환경 비정부기구(NGO)와 협력했습니다. 그들과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지식을 쌓았죠. 여러 번의 회의 끝에 벡셰 정치인들은 ‘화석연료 제로’를 만장일치로 결정했습니다.”

벡셰 의회가 ‘석유·석탄 등 화석연료를 전혀 쓰지 않는 도시’를 추구하기로 선언한 것은 선진국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를 규정한 교토의정서가 나오기 1년 전인 1996년입니다. 요한손 씨가 말한 환경 NGO는 SSNC라고도 불리는 ‘스웨덴 자연보호협회’입니다. 1909년 설립된 SSNC는 2016년 기준 회원 수가 22만 명에 이르는 스웨덴 최대, 최고령의 환경보호단체입니다. 벡셰시는 1995년부터 2년간 SSNC와 함께 ‘환경 지자체 벡셰’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시민단체와 지자체가 손잡고 ‘환경 도시’ 박차

요한손 담당관에 따르면 벡셰와 NGO의 협업이 잘 될 수 있었던 조건 중 하나는 ‘의제21’입니다. 의제21은 1992년 리우 유엔환경개발회의에서 채택된 ‘리우선언’의 실천계획으로, 환경문제를 사회의 여러 주체가 협력해서 해결한다는 원칙을 담고 있습니다. 의제21은 특히 지방정부의 역할을 강조했습니다. 요한손 담당관에 따르면 1992년 스웨덴 중앙정부가 의제21에 서명한 후, 몇 년에 걸쳐 지자체 절반 이상이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스웨덴 지방자치단체연합회 보고서에 따르면 4년 뒤인 1996년에는 벡셰와 같은 기초자치단체 288곳의 참가율이 100%에 이르렀습니다.

벡셰는 1995년에 시의 최고 의사결정기관인 집행위원회 아래 ‘의제21위원회’를 설치했습니다. 또 ‘의제21 코디네이터’를 고용해 업무추진을 맡겼습니다. 코디네이터들은 각 분야 전문가나 SSNC에서 파견한 활동가 등 NGO 출신으로 구성됐습니다. ‘환경 지자체 벡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벡셰 시민이 참여하는 환경정책 세미나가 십여 차례 열렸고, 세미나에서 나온 아이디어는 코디네이터들을 통해 정책에 반영됐습니다. 이런 주민참여가 바탕이 돼 1999년에는 ‘시의 모든 부서와 회사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책임을 진다’는 내용을 담은 ‘의제21 전략’이 시의회에서 채택됐습니다.

일본 환경‧에너지 전문가 이이다 데츠나리는 저서 <에너지 민주주의>에서 환경도시 벡셰의 성공 비결로 중앙정부의 선도적 환경정책과 함께 ‘지방자치’를 꼽았습니다. 스웨덴 중앙정부는 1991년 석유 등에 탄소세를 부과하는 등 각종 환경세를 도입해 '탈화석연료'를 촉진했습니다. 또 2003년에는 풍력, 바이오매스 등으로 전기를 만드는 생산자에게 인증서를 발급,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전력인증제를 도입하는 등 재생에너지 장려 정책을 폈습니다.

강력한 지방분권국가인 스웨덴에서는 중앙정부가 이런 식으로 환경정책의 큰 틀을 정하고 실질적 추진은 기초자치단체인 코뮌이 맡습니다. 코뮌은 세금징수권을 갖고 있고, 폐기물‧상하수도‧공공교통 정책을 관장하는 동시에 지역 환경보전과 시민 건강유지 책임을 집니다. 이이다 씨는 저서에서 “스웨덴의 모든 코뮌은 의제21을 담당하는 직원과 예산을 갖추고 있다”면서 “이런 열성적인 추진 배경에는 높은 자치성을 가진 코뮌의 역사가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탄소배출량 33% 줄어도 1인당 GDP 130% 증가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이렇게 탄소배출 감축에 열을 올리면 경제성장에 차질이 생기지 않을까요? 우리나라 산업계가 정부의 기후변화대응 정책에 반대하는 논리가 바로 ‘기업 비용이 늘어 경제성장에 불리하다’는 겁니다. 하지만 스웨덴과 벡셰시의 경험은 이런 우려에 근거가 없음을 보여줍니다.

벡셰시 자료에 따르면 1993년에서 2015년까지 스웨덴의 1인당 이산화탄소배출량이 약 33% 줄어드는 동안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약 130% 증가했습니다. 벡셰시의 경우도 같은 기간 1인당 이산화탄소배출량이 약 50% 줄었지만 1인당 국내총생산은 90%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이 기간 중 스웨덴의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선진국 중에서도 높은 수준으로 꼽힙니다.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자료에 따르면 22년간 스웨덴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3.95%로, OECD 연평균 경제성장률인 3.76%를 웃돕니다.

벡셰시는 2006년 ‘환경 프로그램’을 통해 생활, 연료, 교통 등 각 영역에서 달성해야 할 세부적 배출량 감축목표와 담당 부서를 명시했습니다. 2030년까지는 화석연료를 퇴출하고,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2020년까지 1993년 기준 65% 이하로 줄이기로 했습니다. 시는 이 목표에 차근차근 다가가고 있습니다. 요한손 담당관은 벡셰시가 여기서 만족하지 않고 2015년 유엔에서 채택된 ‘2030 지속가능개발의제’에 맞는 ‘지속가능한 벡셰’ 프로그램을 2019년까지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출연: 강훈 이정민 이현이 기자
  영상편집: 이정민 이현이 기자
출처: <마지막 비상구>(제정임 엮음)


디지털 시대의 멀티미디어 실험에 앞장서는 <단비뉴스>가 ‘소리뉴스’를 시작합니다. 2020년 ‘올해의 환경책’으로 선정된 <마지막 비상구>를 환경부 기자들이 목소리로 전합니다. 이 책은 <단비뉴스>가 2017년 9월부터 약 1년 반 동안 연재한 ‘에너지 대전환, 내일을 위한 선택’ 시리즈를 엮어낸 것입니다. 석탄·석유·원전 등 기후위기와 방사능재난을 부르는 ‘위험한 에너지’에서 벗어나 ‘안전하고 깨끗한 에너지’로 전환할 길은 무엇인지 모색했습니다. 소리뉴스는 이 책 중 3부 ‘에너지 대전환은 가능하다’부터 시작합니다. 지구촌을 강타하고 있는 기후재난의 현장을 조명하고, 파국을 막을 대안을 모색하는 내용입니다. 탈원전 논란과 에너지정책을 다룬 1, 2부는 그다음에 이어집니다. 이 기사들은 민주언론시민연합의 ‘올해의 좋은보도상’과 데이터저널리즘코리아의 ‘올해의 영데이터저널리스트상’을 받았습니다. 시각장애인을 포함, 더 많은 독자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 시작하는 단비 소리뉴스. 주 1회 <단비뉴스> 홈페이지와 유튜브 채널에 실립니다. (편집자)

① ‘기후붕괴 시대’ 위협받는 삶의 현장
② ‘세계 4대 기후 악당’ 한국이 받는 벌
③ ‘트럼프의 훼방’에서 파리협정 살리기   
④ 달려가는 유럽, 끌려가는 한국

편집: 김병준 PD

저작권자 © 단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