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주의 시사맥(脈)] 시극 '파포스'
'이 주의 시사맥(脈)’에서는 단비뉴스 시사현안팀이 매주 최신 이슈를 짧고 깊게 소개합니다.
조각상과 사랑에 빠진 피그말리온의 신화를 아시나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키프로스 왕 피그말리온은 조각상 갈라테이아와 결혼합니다. 둘 사이에서 탄생한 딸의 이름이 ‘파포스’죠.
최근 국내에서 개막한 어느 공연의 제목도 <파포스>(PAPHOS)입니다.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인공지능(AI) 시인이 쓴 시극입니다. 지난달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에서 공연했습니다. 도저히 불가능할 것 같았지만 조각상 갈라테이아가 아이를 낳은 것처럼 인간의 고유한 영역으로 여겨졌던 시 창작을 인공지능이 해냈다는 뜻이 <파포스>라는 제목에 녹아 있습니다.
시극 <파포스>의 극본은 인공지능 시인 ‘시아’가 쓴 20여 편의 시로 구성되었습니다. 시아는 미디어아트 그룹인 슬릿스코프와 카카오브레인이 지난해에 개발한 시 쓰는 인공지능입니다. 카카오브레인의 AI 언어 모델인 ‘KoGPT’를 기반으로 만들어졌죠. 시아는 인터넷 백과사전과 뉴스 등을 학습하며 한국어를 공부한 뒤, 1만 3000여 편에 이르는 한국 근현대 시를 읽어 작법을 익혔다고 합니다.
인공지능 시아가 한 편의 작품을 집필하는 데는 30초 안팎의 시간이 걸립니다. 시아가 쓴 시는 이번 달에 <시를 쓰는 이유>라는 제목의 시집으로도 출판될 예정입니다. <파포스>와 <시를 쓰는 이유>를 시작으로 인공지능 문학 시대가 개막할 수 있을까요? 이 주의 시사맥(脈), 시극 <파포스>였습니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