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 정수를 권역별로 인구 비례에 따라 나누고 그 의석을 정당 득표율에 따라 나누는 방식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전국을 5∼6개 정도의 권역으로 나눈 뒤 인구 비례에 따라 권역별 의석수(지역+비례)를 먼저 배정한 뒤 그 의석을 정당투표 득표율에 따라 나누는 것이다. 그리고 권역별 지역구 당선자 수를 제외한 나머지에는 비례대표를 배정한다. 이에 대해 전국 단위 정당 득표율에 따라 비례대표 의석을 배정하는 현행 전국구 방식에 비해 지역주의 구도를 완화하는 제도라는 평가가 있는 반면, 비례대표제의 원래 취지를 왜곡하는 방안이라는 주장이 맞선다.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회가 7월 26일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과 현행 300명인 국회의원 정수를 369~390명으로 확대할 것을 주장했다. 권역별 비례대표제가 도입되면 지역 구도가 완화되고 군소 정당의 원내 진출도 쉬워진다는 것이 전문가들 분석이다. 그러나 새누리당은 이날 "의원 수를 늘리자는 야당 제안은 국민 입장에서 보면 반(反)개혁적 쇄신안"이라며 비판했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여당 간사인 정문헌 새누리당 의원은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내각책임제에 더 어울리는 제도"라고 했다. 한편 중앙선관위는 앞서 지난 2월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을 전제로 현재 지역구 246석, 비례대표 54석을 의석수 2대1의 비율(지역 200석, 비례 100석)로 변경하는 안(案)을 제안했다.

 관련기사로 알아보기

-조선일보

野혁신위 "의원數 늘리자", 與 "反개혁적 발상"

-한국일보

"3권역 비례대표제 도입 땐 지역구도 대폭 완화"

저작권자 © 단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