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네토크]영화 속 언론② 굿나잇 앤 굿럭
에드워드 머로의 믿음, ‘진실 보도가 역사를 만든다’


* 이 코너에서는 영화전문잡지 <씨네21>의 이주현 기자와 <단비뉴스>의 이수경 기자가 인터넷 메신저에서 대화를 하며, 또는 영화를 함께 본 뒤 수다를 떨며 영화를 소개한다. 그 가운데 ‘영화 속 언론’은 언론을 소재로 다룬 영화만 집중적으로 조명해보는 시리즈이다. (주의 : 스포일러 있음)

 

[수경] 님의 말 : 언니! 일본 출장은 잘 다녀오셨나요? 제 선물은???

[주현] 님의 말 : 잘 다녀왔지~ 음.. 본론으로 바로 들어가 볼까? ‘굿나잇 앤 굿럭’은 어떻게 봤어?

[수경] 님의 말 : 앗, 이렇게 화제를 돌리다니..-_-;; 담엔 꼭~ㅋㅋ. 영화는 흑백에다 재즈 선율이 흘러서 분위기가 꽤 멋졌어요. 진실을 위해 싸우는 기자들도 인상 깊었고요. 아쉬웠던 건, 경영진이나 외부와 마찰하는 게 크게 부각되진 않았다는 거. 치열하게 싸우는 모습이 있었다면 더 극적이었을 텐데. 그리고 다소 허무한 끝...

[주현] 님의 말 : 근데 이 영화가 90분 정도의 짧은 러닝 타임에 에드워드 머로와 매카시의 대결에만 집중하잖아. 실화를 바탕으로 한 거니 굳이 그 이후 이야기들을 길게 할 필요는 없지 않았을까? 줄거리가 심심하진 않았거든. 물론 친절한 끝맺음은 아니었지만. 
 

실제 기자 닮은 배우들의 올곧은 표정과 멘트에 반하다

[수경] 님의 말 : 영화 속에서 에드워드 머로, 정말!! 올곧은 표정과 멘트하며, 완전 반했어. 아! 그런 기자 되고 싶어. 무엇보다 배우가 실제 기자를 닮았다는 거.

[주현] 님의 말 : 미국 CBS 기자잖아. 방송저널리즘의 창시자라고도 하던데, 1940년대 2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때 런던으로 특파돼 라디오 방송하면서 유명해졌다고.

[수경] 님의 말 : 아, 사회주의자였던 해럴드 래스키 교수가 머로에게 책을 헌정하게 되는 계기가 된 전시방송이 바로 그거?

[주현] 님의 말 : 그렇지. CBS에서 <씨 잇 나우(See it now)> 진행하기 전에 이미 종군기자로 명성을 얻었대. 그러다 아무도 건드리지 못했던 매카시와 한판 붙으며 세기의 스캔들을 만들었고, 결국 매카시를 조사받게까지 했으니.

[수경] 님의 말 : <씨 잇 나우>가 지금 CBS의 간판 심층보도 프로그램 <60분(60 Minutes)>의 모태였다고 해요. TV 상업주의에 밀려나 결국 종영했다고 하니, 안타깝다~흑흑. 연설장면에서 그렇게 말했었죠. ‘방송은 역사를 만들지만, 지금은 퇴폐주의와 현실 도피로 일관한다’고.

 

 ▲ 영화 속 에드워드 머로(데이빗 스트래던)

[주현] 님의 말 : ㅋ 그 연설이 꽤 도발적이지. 라디오 텔레비전 뉴스국장 연차총회에서 한 연설인데, 어떤 장애에도 진실이 공정하고 정확하게 보도돼야 한다는 얘기를 하잖아.

[수경] 님의 말 : TV를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지식을 전할 수도, 바보상자로 전락할 수도 있다는 얘기가 기억난다는... <씨 잇 나우> 종영 후에 머로가 이민노동자들의 고난을 담은 다큐멘터리 <창피한 수확> 제작에 참여했다던데, 그게 지금까지 TV 역사상 최고의 다큐로 인정받는다는 거~

[주현] 님의 말 : 인터넷으로 실제 머로의 사진을 봤는데, 주인공 데이빗 스트래던과 느낌이 비슷하더라. 특히 담배 물고 있는 장면들이 너무 좋더라고.

[수경] 님의 말 : 실제로도 애연가였대요. 하지만 그것 때문에 57세에 폐암으로 사, 사망하셨다는..;; 그런데 왜 항상 클로징 멘트로 ‘굿나잇 앤 굿럭’이라고 했을까요?

[주현] 님의 말 : 1940년 말에 당시 엘리자베스 공주가 라디오 생중계 연설을 끝맺으면서 그렇게 말했었대. 그 때가 독일군이 런던을 공습했던 ‘런던 블리츠’ 때였거든. 언제 죽을지 모르는데 잘 자고 행운을 빈다는 말이 영국인들한테 얼마나 가슴에 와 닿았겠어. 머로가 그걸 잘 활용했지.
 

기록 영상이 빚어낸 리얼리티, 다큐멘터리 같은 ‘극’

[수경] 님의 말 : 이 영화는 독특한 카메라 시선도 인상 깊었어요. 정면 샷은 거의 없었고, 또 멀리서 머로를 바라보는 것 같기도 했고 말이죠. 마치 방송, 다큐, 영화를 섞어놓은 느낌이랄까? 실제로 이 영화를 다큐로 착각하는 사람들도 있더라구요. 찰리(카메라 기자)가 찍어온 화면들을 보면 다큐 같기도 하고.. 그 화면들은 진짜겠죠?

▲ 실제 에드워드 머로(왼쪽)와 프레드 프랜들리(오른쪽)

[주현] 님의 말 : 일부는 그렇대. 기록영상을 적절히 잘 배치한 덕에 사실적이기도 하고. 인물들 사생활은 전혀 나오지 않는 것도 사건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서 일부러 그런 거래. TV사건에 관한 얘기니까, TV에 나타난 순간만을 그리고자 한 거지.

[수경] 님의 말 : 와, 역시 2005년에 전미비평가협회에서 선정한 ‘올해 최고의 영화’로 뽑힌 이유가 있네요. 참, 검색해서 알아낸 건데 이 영화는 고증에 심혈을 기울여서 세트도, 영상도 거의 비슷하게 찍었대요. 심지어 소품 담당이 대본 날짜와 동일한 기사가 실린 1950년대 초 신문을 공수해서 찍었다는!! 대~박~!!


배우들의 열연은 좋았으나 다소 이상적인 모습

[수경] 님의 말 : 조지 클루니는 영화감독으로도 손색이 없네요. 프레드(프로듀서 역)로 연기까지 하면서, 얼굴도 잘생기고 말이야~

[주현] 님의 말 : ㅋㅋ 조지 클루니 아버지인 닉 클루니가 30년간 앵커로 활동했었대. 그래서 어릴 때부터 방송국 스튜디오에 자주 놀러가기도 했다고. 영향이 있었을 듯.

▲ 영화 속 프레드 프랜들리(조지 클루니, 감독)

[수경] 님의 말 : 다들 너무 멋있게 나와서 신기했어요. 전 이제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보면 아이언맨이 떠오르던데 ㅎㅎ

[주현] 님의 말 : 너무 번듯하게 양복 입고 나오니 적응이 안 되던데~ ㅋㅋ. 사실 영화 자체가 언론인에 대해 미화한 게 있지. 어느 기사들을 보니 영웅주의적으로 언론인을 그렸다고 하더만. 모든 기자가 다 정의와 진실을 위해 싸우는 것도 아니고, 페일리 회장처럼 그렇게 기자를 믿어주는 경영자도 찾기 어렵고...

[수경] 님의 말 : 어쩌면 외부 압박에 두려워하는 홀랜드(앵커 역)가 더 현실적인 모습일 수도. 페일리 회장도 경영을 위해서는 어쩔 수 없는... 하지만 결국 타협안으로 프로그램 5편을 밀어주게 된 것도 지금 보면 이상적이었던 거 같아요.

[주현] 님의 말 : 뭐, 머로에겐 굴욕이겠지만. 결국 페일리 회장이 시청률이 높은 쇼오락 프로그램을 선택하면서, <씨 잇 나우>가 늦은 밤으로 방송시간대가 밀려났대. 그래서 시청률도 줄고 광고도 끊겨서 막을 내렸다지.

‘머로’ 배출하는 것은 결국 사회, 한국언론도 희망 있나?

[주현] 님의 말 : 신문은 각 사마다 ‘논조’라는 게 있는데 방송은 더 엄격하게 ‘공정성’이란 잣대를 대잖아. 근데 나는 기자가 표현하고 기록하는 데만 그치면 안 된다고 생각하거든. 동참하는 거야말로 중요하다고 보는데, 머로의 그 정교하고 깔끔한 방송 멘트들이 너무 멋지더라. 

[수경] 님의 말 : 아- 맞아! 특히 머로가 자신의 언어로 멘트를 쓰는 것도 좋았어요. 그만큼 우리나라를 또 돌아보면 아쉽죠. 앵커의 역할이 그만큼 큰데 우리나라는 뉴스 전달자 자체에만 머물러 있고, 신경민 앵커는 자신의 언어를 쓰려고 했으나 퇴출;;

[주현] 님의 말 : 영화에서도 많은 사람이 해고당하지. 그러고 보니 최근에 MBC 노조간부들이 징계를 받은 것도 참 답답해. 한국에서도 기자든 피디든 머로의 <씨 잇 나우> 같은 프로그램을 만드는 게 꿈 아닐까. <피디수첩>이 그런 의미에서 <씨 잇 나우>처럼 용감한 프로그램이라고 봐. 황우석 줄기세포 사건 때도 그랬고, 이번 스폰서 검찰도 그랬고.

[수경] 님의 말 : 하긴 결국 사회가 머로와 같은 언론인을 만들어낼 수 있게 노력해야 되는 건데, 현 상황은 그게 어렵네요.

[주현] 님의 말 : 그렇지. 기자에게는 성역이 있으면 안 되잖아. 하지만 개인의 역량이 있다고 해도 방송이 나가려면 회사, 사회의 분위기가 많이 작용하니까.

[수경] 님의 말 : 그래도 피디수첩 피디들, 그리고 2005년 X파일 사건 때 이상호 기자처럼 발로 뛰고 진실을 찾으려는 기자들이 계속 나오잖아요. 우리 언론에 아직 희망이 있다는 거 아닐까요?

[주현] 님의 말 : 희망은 늘 품어야지. ^^ 그럼 이번 대화의 클로징 멘트는 머로처럼. 굿나잇 앤 굿럭!

[수경] 님의 말 : 언니도 굿나잇 앤 굿럭! ㅎ

 

* 100자로 알아보는 영화 맛보기
1950년대 초, 미국은 조셉 매카시 의원과 특별조사위원회의 공산주의자 색출로 시끄럽다. CBS 시사뉴스 프로그램 ‘See It Now’의 앵커 에드워드 머로(데이빗 스트래던)와 보도국장 프레드 프랜들리(조지 클루니)는 매카시즘의 부당함을 정면으로 고발한다.

저작권자 © 단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