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지역정치 리포트] ⑥ 청년 재도전 막는 선거 비용 문제 해법은?

청년이 정치에 참여할 때 어떤 부분에서 기성세대에 비해 더 어려움을 겪고 있을까? 제대로 된 청년 정치인 육성 과정이 없다는 것이나 공천 과정의 문제는 이미 살펴보았는데, 출마가 결정된 뒤에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바로 비용 문제다. 이번 6.1 지방선거에서 지역구 출마를 기준으로 시·도 의원은 평균 5500만 원, 구·시·군의원은 평균 4700만 원이 법정 선거비용 상한이었다. 반면 후보자 자산신고액을 보면 청년 후보들 가운데 아예 전 재산이 5000만 원 이하인 경우가 전체의 4분의 1을 넘었다.

이런 선거 비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나라 헌법은 선거공영제를 채택하고 있다. 정치자금과 관련된 문제점을 줄이고 선거운동의 형평성을 확보하기 위해 선거운동에 필요한 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부담한다. 비용 부담 때문에 정치 참여를 포기하는 것을 막아보자는 것이다. 다만 후보 난립을 막기 위해 일정한 득표율을 넘겨야 비용을 보전해준다. 10% 이상의 득표율을 넘으면 법정 선거비용의 절반까지, 15%를 넘으면 전액을 돌려받을 수 있다.

문제는 후보 난립을 막기 위한 이 득표율 제한이 특히 청년들의 정치 진출에 큰 걸림돌이 된다는 점이다. 정치 초년생인 청년이 10%를 넘기는 쉽지 않기 때문이다. 더구나 이 득표율을 넘기더라도 선거비용으로 보전받지 못하는 항목들도 많다. 대표적으로 선거 사무소와 집기류를 마련하는 비용은 보전 대상이 아니다. <단비뉴스>가 만난 정의당 서울시 관악구의원 왕복근 후보는 필요한 집기류를 중고거래사이트에서 무료 나눔을 통해 마련했다. 또 예비후보 때 여론조사가 반영되는 경선을 치르게 되면 수백만 원에 달하는 여론조사비용을 고스란히 후보가 부담해야 한다.

어렵게 자금을 마련해 선거에 도전했다 하더라도 낙선의 아픔을 겪고 나면 쉽사리 재도전을 꿈꿀 수 없다. 선거를 치르느라 생긴 빚 때문이다. 청년 정치인들은 낙선으로 생긴 빚을 다 갚고 나면 다시 빚을 내 선거에 도전해야 하는 게 현실이라고 말한다.

‘2030 지역정치 리포트’ 6화는 선거 비용의 문제와 더불어 낙선한 청년이 재도전하기 어려운 구조와 대안을 살펴봤다.

( 기획·취재: 박성동 강훈 김수아 정예지 조성우 기자 / 연출: 박성동 기자, 나종인 서현재 정호원 PD / 편집: 서현재 PD )

* 이 콘텐츠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정부광고 수수료를 지원받아 제작되었습니다.

6.4%. 2018년 치러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로 당선된 지방의회 의원 가운데 청년 정치인의 비율이다. 40살을 넘지 않은, 20대와 30대 기준이다. 이들의 인구 비율인 26.2%에 한참 못 미친다. 20대 의원만 따지면 더 심각하다. 전국 17개 시도의회 가운데 서울과 대전, 울산, 경남 4곳에만 20대 정치인 한 명 혹은 두 명이 진입할 뿐이었다.

세상은 점점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가치가 다원화되고, 기술이 발전하고, 경제적 이해관계는 복잡해진다. 취약계층은 다양해지고, 특히 사회주도층이던 청년이 ‘삼포세대’가 돼 갈수록 위태로워진다. 그만큼 새로운 정치적 의제는 쌓여가고 청년의 절박한 요구도 커졌지만 정치권은 더 늙어가고 있다.

<단비뉴스>는 6.1 지방선거를 맞아 청년정치, 특히 주민과 가까운 생활 정치로서 지역에서의 청년정치를 집중 조명한다. 지방에서 청년 정치인이 안정적으로 뿌리내리지 못하는 현실을 드러내고, 청년이 정치에 입문하고 성장하기 어려운 구조적 배경을 분석하는 보도를 8회에 걸쳐 내놓는다. 지역에서 청년 정치의 가치와 필요성도 풀어내는 동시에 더 나은 청년 정치 풍토를 위한 대안까지 모색하려 한다. (편집자주)

1화 이렇게 좋은 청년정치, 우리 지역엔 없어?
2화 나 홀로 청년정치…“동료 의원 만들어 주세요”
3화 정치 첫 관문, 지역에서 ‘공천’받기 어려운 청년
4화 육성 없는 정당...“청년은 어디서 경력을 쌓나?”
5화 2022년 시민 선택받은 청년정치 ‘날갯짓’

저작권자 © 단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